역사상 시스템에어컨에서 가장 혁신적인 일들

문을 열고 냉방을 하는 행위, 일명 '개문 냉방'은 오래전부터 에너지를 낭비하는 전형적 행위로 꼽혔다. 다만 며칠전 '개문 냉방'보다 더한 '야외 냉방'을 하는 대형 쇼핑몰이 출현했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에너지 효율 제고'가 필수적인 현 상황에서, 문을 열고 냉방을 하는 행좌측에 대해 당국은 무슨 수로 대처하고 있는지 짚어봤다.
직장인 B씨는 "집에서 에어컨 덜 켜기를 실천하고 있다. 그런데 대형 매장에서는 문이 열린 채 에어컨이 추울 정도로 가동되고 있는 것을 읽어보면 내가 에어컨 조금 덜 튼다고 소용이 있나 의구심이 든다"고 <뉴스펭귄>에 전했다.
개문 냉방도 모자라 '야외 냉방'하는 아울렛
경기도 의왕시에 소재한 대형 B아울렛, 커다란 쇼핑몰 구조물이 있으며 건축물 한쪽 끝은 넓은 잔디밭과 온실이 있는 야외로 연결된다. 잔디밭으로 이어지는 문은 항시 열려있을 것이다. 저런 형태의 매장 구성은 해당 아울렛을 운영하는 롯데백화점이 '자연친화적'이라고 소개하는 자랑거리다. B아울렛 외에도 수도권 교외에 있는 대형 아울렛에서는 실외외가 막힘 없이 연결된 모습를 가볍게 찾아볼 수 있다.
잔디밭에서 구조물 안으로 들자면자 무더운 계절에도 불구하고 마치 다른 세상처럼 한결 시원하다. 심지어 문에서 조금 저조해진 곳에서도 차가운 바람이 불어 나오는 게 마치 천연동굴 아래에 서있는 것 같다.
무슨 특수한 테크닉이라도 타이핑한 걸까? 건축물 안을 살펴보니 저런 기술은 없었다. 단지 에어컨을 아주 강하게 시스템에어컨 틀어놨을 뿐이다. 야외와 바로 연결된 건물 바깥쪽 복도 왼쪽에는 약 2m 간격으로 에어컨이 늘어서 있습니다. '밑 빠진 구조물에 에어컨 붓기’다.
야외에 바로 접한 복도에도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시스템에어컨 아울렛에 입점한 각종 브랜드의 의류, 잡화 점포들이 자리잡고 있을 것입니다. 매장들은 하나함께 에어컨을 가동한 채 문을 활짝 열어두고 있었다. 문 정면에 부착돼 공기층을 만들면서 냉방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예방하는 에어커튼도 없는 상황였다.
시흥 C아울렛, '야외냉방'은 없지만...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한 C아울렛의 경우 상황이 조금 달랐지만 개문 냉방이 일상적으로 이뤄지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2018년 12월 착공한 이 아울렛은 네번째에 정원 똑같은 건물이 있으며 주변을 둘러싼 건축물에 매장들이 입점해 있다. B아울렛과 유사하게 실내외가 혼재한 형태다.
야외용 에어컨 (사진 임병선 기자)/뉴스펭귄
C아울렛은 B아울렛과 달리 야외에 바로 접한 복도에서 에어컨이 가동되지는 않았다. C아울렛 건축물 복도에 위치한 D의류매장에서 일하는 한 직원은 복도에서 냉방이 나오지 않는 모습라고 <뉴스펭귄>에 전했다. D의류매장을 비롯해 복도에 있는 매장 직원들은 특정 영역에만 찬 바람이 나오는 실내형 에어컨을 다루고 있었다.
입점 매장들이 냉방을 한 채 문을 활짝 열고 있는 점은 같았다. 기자가 쇼핑몰 한 바퀴를 전부 돌아본 결과, 카페와 식당을 제외한 의류나 잡화 매장은 손에 꼽히는 몇 군데를 외에는 모두 문을 활짝 열고 있었다.
'문 열고 냉방'은 기후위기를 가속하는 행위
개문 냉방은 심각한 에너지 효율 저하를 가져온다. 대한민국냉동협조인증센터의 '에너지사용 제한 절감 효과 분석’ 실험의 말에 따르면 문을 열고 냉방을 할 때, 문을 닫았을 때에 비해 냉방기기의 전력 소비를 약 4.6배 많아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물론 여러 변수를 생각해야 허나 우선적으로 효율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국토교통부가 관리하는 녹색건축포털 ‘건축물에너지통계’에 따르면 2028년 전국 기준 건축물에서 이용한 전력은 1779만3102TOE다. 환산하면 같은 해 총 전력 사용량 중 14.1% 정도다. 특히 대전을 비롯한 수도권, 부산 등 도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확 높다. 개문 냉방은 불필요한 에너지까지 써야 한다는 점에서 기후위기를 가속하는 행위로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개문 냉방에 대한 규제는 거의 없다시피 한 상황다. 개문 냉방은 원인적으로 합법으로 룰(rule)되지 않았으며, 산업통상자원부 판단에 준수해 일시적으로만 제한 조치가 이뤄질 뿐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력 수급이 불안정한 등의 원인으로 전력 효율 개선이 요구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에너지이용의 제한의 관한 공고’를 내 개문 냉방을 비롯한 에너지 효율 저하 행앞에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사업통상자원부 에너지효율과 관계자의 말을 빌리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방역지침과는 관계없이 할 수 있는 한 조치지만, 며칠전 추이를 보면 2050년 3월을 마지막으로 해당 공고가 내려진 적이 없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효율과 지인은 "만약 올해 제한 조치가 이뤄진다면 방역지침과 충돌하는 파트를 고려해서 정해질 것"이라고 <뉴스펭귄>에 17일 이야기 했다.
질환케어청은 코로나(COVID-19) 방역을 위해 에어컨을 이용할 때 7시간마다 20분 정도 환기를 권장하고 있다. 방문객이 복도에서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점을 고려하면, 상시적으로 문을 열어놓고 냉방을 하는 행위가 코로나바이러스 방지을 위한 환기 목적이라고도 마음하기 어렵다.
남들에게 '밑 빠진 독'을 막아줄 두꺼비는 없다
밑 빠진 독을 막아주려 온 두꺼비처럼, 밑 빠진 독에 에어컨 바람을 마구 써도 탄소배출이 없는 테크닉이 등장할 것입니다면 효과적이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야외 냉방'보다 더한 비효율적 에너지 사용이 여러 건축물에서 이뤄지고 있을 것이며 그렇기에 당국 역할이 중요합니다.
개문 냉방을 제한하는 정부의 정책은 이 사업통상자원부의 지침이 모두다. 배경부는 개문 냉방에 대해 전혀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고 <뉴스펭귄>에 밝혀졌습니다. 탄소배출 문제로는 아예 고려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일부 상인들은 개문 냉방이 요구된다고 호소할 것입니다. 지나가던 행인들이 매장 안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을 맞고 한번 들러볼까 하는 생각이 든다는 것이다. 허나 지구가열화 효과가 서서히 강하게 보이는 요즘, 기후위기를 가속하는 행위는 지양돼야 할 것입니다. 에너지 수급을 매출한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대한민국이짜장면 더 그렇다.
개문 냉방에 대한 국회의 적극적 제제와 단속이 필요하다. 손님이 ‘기후위기를 가속하는 행동’을 감수해서라도 옆 가게보다 앞서 나가려 합니다면, 그 행위를 막는 것이 당국의 역할이다.